본문 바로가기

Lost Flower-이조백자와 장미 > 작품보기

상품간략정보 및 구매기능

상품 선택옵션 1 개, 추가옵션 4 개

작가명 전두인
제목 Lost Flower-이조백자와 장미
사이즈(호수) 72.7×53.0cm (20P)
재료(표현기법) oil on canvas
제작년도 2016
구매가격 2,000,000 원
렌탈요금(월) 39,000 원
작품출력 0 원

* 운송비는 별도입니다.

선택옵션

작품출력 희망(아래에서 선택)

작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전두인 Lost Flower-이조백자와 장미

전두인, Lost Flower-이조백자와 장미, oil on canvas , 72.7×53.0cm, 2016

잃어버린 꽃

나에게 ‘꽃’이란 순수와 이상의 상징적 표상이다. 자본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현대 물질문명 속에서 우리는 그저 화려하게 치장된 허상을 쫓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물음에서 이번 작업을 시작했다.

- 전두인 작가

잃어버린 꽃 - 관습 상징, 원형 상징, 개인 상징

꽃이란 회화에 있어서 오랫동안 미를 탐색하는 전통적 화제(話題)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미의 조건들이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을 뿐 아니라 많은 작가들이 더 이상 숭고, 미, 추미 등의 미적 범주론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테마에 천착해 오고 있다는 점에서, 작금에 꽃이라는 주제와 소재는 '관습 상징'만을 도모한다는 이유로 회화에서 멀어진 감이 없지 않다.

그러한 차원에서 컨템포러리의 시대에 여전히 꽃을 소재와 주제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전두인의 작업은 일견 무모해 보이기조차 하다. 현대 회화가 좀처럼 다루지 않는 꽃을 전면에 다루고 있는 것도 그러하지만, 얼핏 보면, 우리가 익히 보아 왔던 전형적인 정물화의 양상과 별반 달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화병 안에 고즈넉이 자리를 잡거나, 때로는 들판 위에 흐드러지게 요염한 자태를 뽐내면서 선보이는 강렬하고도 화려한 군화(群花)의 모습은 지극히 일반적이거나 전형적인 모습이다. 심지어 꽃들이 한결같이 주인공의 모습으로 화폭의 한 가운데 똬리를 틀고 있는 구도는 상투적이고 관습적이기조차 하다.

그러나 이러한 관습적 상징은 화가 전두인이 오히려 적극적으로 의도하는 바이다. 지극한 익숙함이라는 '관습 상징'의 배면으로부터 작가가 장치해 놓은 '시각적 표상(表象)으로서의 알레고리'를 관객들이 발견해 주길 내심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잃어버린 꽃'이라는 일련의 테마는 '미, 아름다움, 화려함, 성숙'이라는 꽃과 관련한 익숙한 상징, 즉 '원형 상징(Archetypal Symbol)'의 의미적 상실과 관계한다. 작가는 꽃이 드러내는 원형 상징을 다시 한 번 비트는 알레고리(Allegory)의 전략을 통해서 이 상징의 '상투성, 관습성'을 '개인 상징(Individual Symbol)'으로 역전시키고자 한다.

보라! 암술과 수술 그리고 그것을 품고 있는 꽃잎이나 꽃받침과 같은 '화피(花被)'가 서로 만나는 요철(凹凸)의 조형성, 프랙탈(fractal) 구조처럼 반복 생산되는 미묘한 꽃잎들의 대칭적 형태와 유선형의 폼(form) 등은 곧잘 꽃을 모태(母胎)의 여성으로 상징하기도 한다. 또한 줄기와 꽃받침이 한 덩어리로 만들어내는 통일감, 가느다란 줄기 위에 풍성한 꽃이 얹힌 비례가 만들어내는 긴장감 그리고 저마다 다른 화려하고 선명한 색은 '부귀, 미, 하모니, 사랑, 재생' 등 이미지로 풀어내는 여러 상징들을 이끌어 낸다. 이것 모두는 꽃을 테마로 한 전두인의 회화에서 우리가 읽어 낼 수 있는 휠러(P. Wheeler)의 관점에서의 관습적 상징(Conventional Symbol)이다. 반면에, '꽃'의 정수(精髓)이자 대표적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자연'은 원형 상징이라 하겠다.

화가 전두인의 작품 제명이자 테마인 '잃어버린 꽃'에서 '잃어버린'이라는 동사의 과거 완료를 드러내는 형용구는 그의 작품이 '잃어버린 이후'의 지금, '이곳'의 시공간에서 '잃어버리기 이전'의 무엇을 찾는 일련의 과정임을 드러냄과 동시에 '잃어버린 이후'의 무엇에 대한 반성적 자각을 함께 담아낸다. 전자의 '무엇'이 '자연'이라고 하는 꽃의 원형 상징이라고 한다면, 후자의 '무엇'은 '순수, 이상 또는 동심'이라는 전두인만의 꽃에 대한 '개인 상징'이 된다. "꽃의 정체는 현대인의 정서에 대한 표상이자 초상이며 동시에 순수와 이상의 상징인 것이다. 또한 후기자본주의 사회에서 동심의 잃어버린 것에 대한 그리움으로부터 시작된 동경의 대상이 되는 것이기도 하다"고 전두인 밝히고 있듯이 말이다.

- 김성호 미술평론가

전두인 Chun, Doo In

EDUCATION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전공 졸업, 경성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서양화) 졸업

SOLO EXHIBITION
피카소화랑,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롯데화랑, 루카스갤러리 등 15회

GROUP EXHIBITION
ART IN ORI, 갤러리 월드 2인전 2회
KIAF(코엑스/서울), 화랑미술제 (코엑스/서울), 북경현대미술전(798아트센터/북경), 부산미술 80년, 부산의 작가들(부산시립미술관/부산)외 기획/초대전 150여회

관련 작품